쇼펜하우어 문장론 사색, 글쓰기, 독서
쇼펜하우어 문장론에선 3가지를 이야기합니다. 사색, 글쓰기, 독서. 이 3가지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사색이라 말해 주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는 대부분 책 읽기를 장려하는 문화에 살고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쇼펜하우어는 오히려 다독은 독이라 이야기를 하고 있다. 다독의 함정으로 나를 대신하여 저자가 사색해 줄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후반부에 음식을 비유로 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음식은 종류가 아니라 소화시킬 수 있는 능력에 의해 양분이 될 수도 있고, 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라고 표현을 한다. 따라서 항상 읽기만 하고 읽은 내용을 생각하지 않으면 대부분 잊어버리게 되어 쓸모없게 된다.
즐길 수 없다면 피해라. 다른 방법으로 양서를 읽기 위한 조건은 악서를 읽지 않는데 있다고 말을 해 준다.
즉, 유행적 신간만을 쫒으며 즐거움만을 찾아 사색하지 않은 독서는 득이 되는 것이 없다고 계속적으로 이야기한다. 그리하여 책에서는 오랜 시간 검증받은 고전을 읽고 사색하는 것을 적극 추천하듯 자주 이야기해 주고 있다.
> 쇼펜하우어 문장론에선 사색, 글쓰기, 독서를 말하지만 나는 여기에 한가지를 더 추가하고 싶다. 바로 실천이다. 독서를 통한 타인의 경험을 배우고 그것을 표현하기 위한 글쓰기까지 이뤄지고, 점점 더 성장해 나가며 깊이 헤아리는 수준을 높이기 위한 사색까지 정말 좋다. 하지만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현대 삶 속에선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런 피드백이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챗바퀴의 구조로 독서와 글쓰기가 이루어지며 사색과 실천 이 원형의 구조가 계속 맞물려가면 더 삶의 변화가 점점 시작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그래서 저는 책을 읽고 글쓰기를 하며 그 책을 통해 배운 (타인의 경험) 내용을 꾸준히 실천해 나가보려 하고 있다. 물론, 이제는 점점 더 깊은 사색 또한 추가로 해 나가 보려 노력하겠다.
사색 : 어떤 것에 대하여 깊이 헤아려 생각함
처음 이 책을 펼쳤을 때는 가볍게 보려는 생각에 누워서 책을 보기 시작했다. 조금 보다 보니 자연스레 책상에 앉아 있는 나를 보았다. 철학적인 이야기들로 글에 대한 자세에 대해 하나 하나 강하게 이야기를 해 주고 있다.
독서와 마찬가지로 단순한 경험도 사색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우리가 입을 통해 음식물을 먹을 수 있었다는 한 가지 사실만 떠올리며 위장보다 입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경험을 통해 여러 가지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이유로 사색보다 경험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p29
나는 단순히 책을 읽고 그 저자의 생각을 남기려 글을 적는 것인가, 아니면 사색을 통해 저자의 이야기를 듣고 글을 남기려는 자세를 취하는것인가, 나의 자세를 다시 바라보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마무리
쇼펜하우어 문장론을 읽으며 처음 아리송한 느낌을 받은 곳이 있다. 이 책에서는 독자로하여금 이해를 잘할 수 있게 글을 작성해야 한다는 식으로 이야기를 한다. 중간중간 나오는 독일어와 그것에 대한 번역이 안되어 있는 부분으로 저자가 말하는 거와 내용이 다소 다른데?라는 느낌을 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부분은 번역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하며 책을 넘겼다.
쇼펜하우어는 왜 이리 같은 나라 사람, 독일 사람들에 대해 욕을 하는지 이해를 할 수가 없었다. 그 부분은 책 뒤 부분 옮긴이 김욱분의 옮기고 나서를 읽고 이해가 되었다.
그의 시대는 한마디로 이 같은 악취미적 글쓰기가 범람하던 시절이었다. 철학자는 물론이고 평론가와 소설가, 하다못해 매일 발행되는 신문조차 엉터리 문법과 생경한 언어로 독일어를 겁탈하는 데 앞장섰다. 몇몇 소수 집단의 구성원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어법이 시대의 유행으로 자리 잡는 것을 바라봐야 했던 쇼펜하우어의 심정은, 인터넷의 생활화로 야기된 언어 파괴를 지켜봐야 하는 우리들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 같은 풍토로 인해 당시 독일 철학자였던 쇼펜하우어는 솜씨 좋은 장인의 손으로 짠 직물에 비유할 수 있는 언어라 말하는, 독일어에 대한 사랑으로 이를 지키고자, 이 책에서 강하게 사색하지 않는 무리들을 비판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었다.
'생각 정리 - 책 >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타그램 수익을 위한 비밀 - 시크릿 인스타그램 책 리뷰 (0) | 2022.11.01 |
---|---|
책 미치지않고서야 한줄 서평 미친듯이 행동하라 (0) | 2022.10.22 |
찰스 다윈 종의 기원 경제적 관념을 넓히기 위해 읽기 시작했다 (0) | 2022.10.18 |
다산의 마지막 습관 독후감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것 (기본의 중요성) (0) | 2022.09.26 |
행복의 기원 독후감 진화론으로 바라본 행복 목표 (1) | 2022.09.18 |
댓글